배타적 집단주의의 문제점

시사

배타적 집단주의의 문제점

iamtalker 0 57,872 08:49

극우의 본질은 배타적 집단주의입니다. 우리 집단을 위해서 너희 집단의 권리,자유,인권을 박탈 혹은 훼손시키겠다 라고 하는게 극우입니다. 

 

일종의 집단이기주의죠. 

 

저는 사실 우파,좌파,진보,보수 이런 단어를 상당히 안좋아합니다. 이건 일종의 프레임이거든요. 어떤 단어에 갇혀서 본질을 파악하지 못하게 합니다. 

 

개인적으로 배타,집단 이런단어를 좀더 선호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극우는 나쁘다 라는 말을 하는것보다도

 

어떤 집단을 위해서 다른 집단을 깔아뭉개는건 나쁘다 라고 말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그것이 정치이든 문화이든 혹은 어떤 집단이든지간에 .... 자기 집단의 이득을 위해 타인 혹은 타집단의 자유,인권,권리를 훼손시킨다면 

 

좋지 못하거죠. 그것을 정치부분에서 나타나면 극우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앞서 제가 말한것처럼 단어가 너무 음...정확하지 못하달까 그래요. 

--------

 

제 경우에는 온전히 자유,권리,인권을 가진 한 개인이 다른 개인과 만나서 사회를 구성한다 라고 봅니다. 

 

이 때 한개인의 자유는 다른 개인의 자유를 훼손하지 않는 내에서 이뤄져야 하고 

 

한 집단의 자유 역시 다른 집단의 자유를 훼손하지 않는 내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봅니다. 

 

-------

그런데 현대사회에서 기업이 매우 중요한 주체이고 기업과 노동자간에 힘의 격차로 인해 너무 불평등,불공정한 상황이 많이 발생하니까 상대적으로 기업에게 제약을 가해야 한다는 말을 하게 되는거죠. 그래서 전 민주당을 지지하는거고...

 

하여간 제 기본적인 생각은 그렇습니다. 

 

어떤 한개인의 자유는 타인의 자유를 훼손하지 말아야 하며 

어떤 한집단의 권익은 타집단의 권익을 훼손하지 말아야 합니다. 

-------

 

따라서 전 단순히 라벨을 가지고 화를 내지는 않습니다. 저 사람이 진보다 좌파다 우파다 보수다 뭐 이런 라벨은 의미가 없어요. 

 

제가 분노하고 문제의식을 느끼는 지점은 한개인의 행위가 다른 개인에게 피해를 줄때

 

한 집단의 행위가 다른 집단에게 피해를 줄때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어떤 시스템화되어서 합법화되어있다면 그건 정말 문제입니다.

------

사실 이런 생각을 말로하는건 그나마 쉬운편이지만 실제로 적용시켜보면 상당히 난감한 구석이 많이 발생하죠. 

 

예를 들어 전장연이나 철도노조가 파업을 해서  서비스 제공이 돌아가는것을 막음으로서 수많은 시민에게 피해를 주는건 옳은가?? 라던가...

 

저도 거기에 대한 명확한 답은 모르겠습니다. 그냥 기본적인 스탠스가 이렇다는거죠.

 

-----

최근 다른 사이트에서 허지웅씨의 글에 대하여 비판 댓글을 달았다고 차단을 먹었습니다. 대충 극우를 없애야 한다는 글이였는데 제가 단 댓글은

극우를 뿌리뽑아야 한다는건 맞는데 허지웅씨의 글은 여전히 너무 현학적이다...

 

라고 썻는데 차단먹었어요. 이정도면 그렇게까지 차단먹을일이 아닌거 같은데 차단먹어서 황당했습니다. 

 

제가 극우를 반대하는건 어떤 배타적 집단주의때문이였는데 저에게 비추천누적을 줘서 차단하게 만든 그 사람들이 대체 무슨 생각으로 그랬던걸까 하네요. 

 

그 사람들은 극우에 반대하는 글에 비판소리를 내었으니 , 제가 극우라고 보였던걸까요? 혹은 자신들이 존경하는 허지웅 작가에 대한 어떤 비판도 용납하지 못하는걸까요??

 

그래서 저는 뭐랄까 어떤 배타적인 집단주의를 좀 느꼇습니다. 

 

-----

전 그런것이 별로 좋지 않다고 생각해요. 제가 허지웅씨를 인격모독한것도 아닌데 현학적이다 라고 했다고 비추천 누적 되어 차단되는건 뭐라해야 하나....

 

어떤 폭력성이 느껴지더군요. 우리에게 동조하지 않으면 적이다. 라고 하는.... 

 

사실 그런 폭력성이 민주당지지자들에게도 매우 자주 관찰되는 편이긴 하지요. 의견이 조금이라도 다르면 국힘지지자다 프락치다 수박이다 라고 낙인찍고 무차별 댓글테러를 하는 모습이. 

 

그래서 저는 원래부터 그러긴 했지만 단어나 라벨보다는 그 본질적 행동양식에 주목하는겁니다. 배타적이고 집단주의적이고 맹목적이라는 행동양식...

 

그런 행동양식을 적극적으로 없애야 한다고 보는겁니다.

[출처 : 오유-시사]

Comments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193 명
  • 오늘 방문자 2,622 명
  • 어제 방문자 3,671 명
  • 최대 방문자 6,062 명
  • 전체 방문자 766,510 명
  • 전체 게시물 144,142 개
  • 전체 댓글수 80 개
  • 전체 회원수 87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