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안전도 하나의 공정입니다.

시사

8. 안전도 하나의 공정입니다.

곱창시러 0 21,289 08.05 16:59

https://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sisa&no=1259472

 

위 글의 연관입니다.

 

안전 관련 도면을 그리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그건 안전을 하나의 공정으로 생각하지 않기 때문임.

 

대한민국 전문건설업 면허 분류에도 안전은 없음

 

왜 그런걸까?

 

간단히 설명하면 국토교통부와 노동부의 알력 다툼 때문임.

(이걸 자세히 설명하려면 글이 너무길어지기도 하고 일반인들은 잘 몰라도 되는 내용이라 생략하겠음...)

 

이건 현 씨스템 상에서는 절대 해결할 수 없는 내용임.

 

하지만 제대로 된 안전을 위해서는 꼭 필요한 작업중 하나라고 생각함.

 

-----------------------------------------------------

 

일단 내 나름대로의 해결방법부터 적어보면

(이걸 꼭 정답이라고 부르기 어려운 사유가 있다보니...)

 

가설(비계, 동바리, 전기, 외부휀스, 흙막이, 타워크레인, 화장실? 등등)과 안전시설물의 통합관리가 되는 구조가 필수라고 생각함.

관련 전문 건설업 면허도 필요할꺼라고 생각하고...

 

이게 필요한 대표적인 예 하나만 적어보면...

 

우리가 비계나 갱폼에 들어가는 수직보호망이 있음.

근데 수직보호망에 걸려서 생기는 풍압에 의해 구조검토하는 사례는 본적이 없음.

그러면서 보통 바람에 매우 취약한 구조의 밀실한 보호망을 사용할 수 밖에 없음.

왜?

안전인증을 받은게 그거밖에 없음...

 

그러니까 태풍이 불어도 버틸수 있게 설계된 갱폼이나 비계가 

안전을 위해서 설치된 수직보호망에 의해 넘어갈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되어버림...

특히나 수직보호망을 보다 튼튼하게 설치하면 할수록 더욱 위험해지는 꼴... 

 

이게 수직보호망과 가설이 따로 놀아서 생기는 일인건 두말 할 필요 없구.....

 

-----------------------------------------------

 

이게 현실적으로 어떻게 어려운지는 나도 충분히 알고 있는 내용임.

 

특히나 안전관리자 입장에서는 관련해서 없던 책임이 생기는 일이라 부담이 될것도 분명함.

하지만 이렇게 공종이 커진다는것은 커다란 권한을 함께 가질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함. 

지금의 젊은 안전관리자들은 그걸 감당할 능력도 있다고 생각하고...

 

반대로 감당할 능력이 없다면...

지금의 안전관리비를 담당하는것도 모두 시공에게 주고

안전관리자들은 감리같은것에 편입되는게 더 나은 상황이라고 생각함.

 

다시 말하지만...

 

이런 내용은 대통령실 직속 안전부서를 만들어 꼼꼼히 검토해 봐야할 사항임.

(행정부 안전파트를 승격하고 전문가를 좀 모으면 가능할일이라고 생각함)

 

결론은

안전(시설)을 하나의 시공처럼 운영될 수 있어야한다는것과

가설시설물과의 통합이 꼭 필요하다는 점.

[출처 : 오유-시사]

Comments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290(1) 명
  • 오늘 방문자 3,673 명
  • 어제 방문자 4,800 명
  • 최대 방문자 6,008 명
  • 전체 방문자 725,212 명
  • 전체 게시물 143,339 개
  • 전체 댓글수 15 개
  • 전체 회원수 68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