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그제 이재명 정부의 국무회의에서 하도급법이 왜?지켜지지 않는지에 대해 물으며
어짜피 시행도 못할 법이라면 없애는게 낫다라는 이재명 대통령의 말을 듣고 감탄을 했습니다.
대한민국에 그런게 너무 많고
특히나 안전 쪽에는 그런게 부지기수죠.
정확히는 지킬 수 있는 환경이 안되거나 계획을 잘못 짠 경우가 대부분 일 텐데...
저는 그런것들의 최고봉을 위험성 평가라고 감히 말씀드립니다.
당장에 뭔 헛소리인가? 싶을텐데... 들어보면 충분히 납득 하실내용이죠.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위험성 평가 때문에 현장점검을 못합니다.
제대로된 위험성 평가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생각보다 엄청난 시간과 인력이 필요합니다.
그렇게 완성된 위험성 평가 항목들이 현장에 제대로 적용되게 만들기 위해서도 엄청난 투자가 필요합니다.
덕분에
대부분의 현장은 위험성평가를 제대로 하지않고...
진짜 제대로 하는 극소수의 회사들은
관련 근무자의 극심한 업무 가중을 가져다 줍니다.
셔류만 하다가 현장을 못나가는 경우가 진짜 발생해 버리죠.
----------------------------------------------
그렇다고 위험성 평가를 없애야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방법을 바꾸는거죠.
당장에 가장 쉬운 방법은 위험성 평가의 대상을 디지털로 전환하는 일입니다.
쉽게 말하면 AI가 평가하게 만들면 됩니다.
아침에 일어나면 모든 시나리오가 자동으로 출력되어 각 관리자에게 자동 전달되게 하고
당일 주요 체크 포인트를 지정해서 각 담당자에게 자동으로 점검하게 만들면 됩니다.
그 중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어느 누구든 지적을 하고
그 지적에 따라 점검할 담당자를 AI가 자동적으로 선정하면 될 일 입니다.
위험성평가 회의는 새로운 공종확인 및 공종률 체크선에서 최대한 단시간에 끝내고
그마저도 회의 외 시간에 미리 입력해 놔도 되죠.
---------------------------------------------------
다만 위 시스템을 만들때 매우 주의해야할 점이 하나 있습니다.
관련시스템을 중앙에서 통제하려고 하면 안된다는거죠.
각 현장 단위로 내부 정보가 절대 밖으로 세어나가지 못하게 관리가 들어 가야 합니다.
특별한 상황이 아닌이상
해당 현장 단위에서 안전관리를 잘 하고 있는지 여부만 알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근데 십중팔구 중앙통제를 하고 싶어하는 욕구를 가진 권력자? 때문에 성공하기 힘들겁니다.
그게 또 안전을 망치는 이유중에 하난데...
관련 설명은 나중에 기회가 되면 하는것으로 하겠습니다.
[출처 : 오유-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