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콜센터 보다가 든 생각

시사

충청권 콜센터 보다가 든 생각

습기에취약함 0 62,497 02:06

 

 

 

대전권에 콜센터가 많다고 이런저런 얘기 듣다가

 

 

생각해보면 남자 상담사가 적은 이유 생각 안해보셨을거 같습니다.

 

 

짧지만 콜센터 근무해본 결과. 딱 산업혁명때 노동자 착취하는 구조 수준의 운영방식인 것 같더라고요

 

 

A라는 대기업에선 콜센터가 필요한경우

 

 

AA서비스 라는 이름으로 계열사인척 하고 본사의 한 3배 다운그레이드 한 콜센터 or 서비스센터 운영하고

 

 

사장정도 되는 직급은 본사에서 내 밑에서 일 잘했던 사람을 낙하산으로 꽂아놓고 운영

 

 

A라는 대기업 정돈 아니고, 중견 혹은 공공기관급 정도 되는 곳은

 

 

@@라는 파견업체 통해서 콜센터 or 서비스센터 상시 100명 ~ 1000명 유지 해줘라 라고 압박

 

 

둘 다 급여는 최저시급으로 주고 인센티브 명목으로 +@가 있지만

 

 

사실상 파견업체에 월 1억에 40명 쓰고싶어 라고 하면 

 


대충 210만원에 40명 = 8400만원, 팀장 2명 600, 강사급 1명, 총무급 1명 500쓰고 남은 돈으로

 

 

등급으로 나눠서 인센이랑 복지 (간식비 같은거) 써서 운영하는대

 

 

이런 파견회사가 임직원 만명이상 되는 중견기업으로 들어가니

 

 

정규직, 비정규직 임금차별 기사가 나올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직접 수치로 본건 아니고 이런 흐름으로 회사가 운영된다라고 다양한 직군을 다녀본 제 생각입니다.

 

 

 

요약하자면

1. 대기업이든 공공기관이든 구분없이 싼값에 콜센터 or 서비스센터 운영

2. 그걸 파견업체를 이용하니 파견업체가 중견기업수준으로 성장

3. 1, 2 이유로 인해 정규직, 비정규직 임금격차가 큰게 당연한게 아닌가?

 

 

 

[출처 : 오유-시사]

Comments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60(1) 명
  • 오늘 방문자 894 명
  • 어제 방문자 1,173 명
  • 최대 방문자 6,008 명
  • 전체 방문자 651,796 명
  • 전체 게시물 121,652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61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