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트랙 전략’을 제안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사법쿠테타에 비롯된 반응이니 충분히 이해됩니다.
다만 그 전략이 실제 효과를 가지려면, 조용히 준비되어야 합니다.
공개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는 순간, 전략은 전략이 아니라 혼란의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
현재 민주당과 이재명 후보는 단일 후보 체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상황에 대하여 복수의 시나리오를 동시에 검토하고 준비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지금 필요한 것은 그러한 준비가 드러나지 않고 유지되는 상태를 지켜보는 태도입니다.
특정 상황(예: 유죄 확정)을 전제로 후보를 등록하면
→ 허위 등록 (공직선거법 제256조)
단일화나 사퇴를 전제로 한 메시지를 공표하거나 조율하면
→ 사전선거운동 (공직선거법 제254조)
특히 정당 간 사전 협의가 확인될 경우
→ 선거질서 교란 목적의 연계 행위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법적 리스크는 단순히 문서상의 문제가 아닙니다.
선관위, 검찰, 언론, 상대 캠프 모두 이를 근거로 문제를 제기할 수 있으며,
그 부담은 고스란히 이재명 후보와 민주당에 돌아갈 수 있습니다.
대체 후보 이야기가 커뮤니티나 언론을 통해 확산되면 중심은 흐려집니다.
내부적으로 혼선이 생길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대 진영이 원하는 구도에 휘말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게다가 이재명을 공식 후보로 두고 있는 상황에서 ‘플랜B’를 공론화하는 것은
결국 내부에서도 후보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사법쿠테타에 대한 대비는 필요합니다.
하지만 투트랙 전략은 공개적으로 드러나서는 전략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지금은 중심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전략은 침묵 속에서 준비되어야 합니다
민주당과 이재명 후보의 전략적 판단을 신뢰하는 것이 우선이며,
지금은 공개적 플랜B 논의가 도움이 되지 않는 시점입니다
[출처 : 오유-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