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기반경제 시스템은 어디서 왔는가?

시사

자원기반경제 시스템은 어디서 왔는가?

남기선짱 0 638 07.03 03:31

 

 

 

오래전   시대 정신 다큐 멘터리에서 나왔습니다. !!    

 

전세계적으로 다 퍼진 다큐멘터리이자..   자원 기반경제에 대해서 자세히 나옵니다.  !!    

 

지금의 자본경제 시스템이 망가지고 있는 점과..  자본 경제 시스템을 버리고..  

 

새로운 자원 기반 경제 시스템으로 가자는  것이죠.    이미 본 사람들은 다 아는 내용입니다..    오늘날 전쟁위기..  글로벌 자본 경제의 위기.. 전부다 맞춘 다큐이죠.. 앞으로 더 큰 위기들도 올 것이고요..    15년 전인가 나왔습니다.  

 

    챗지피티로 쓴 요약 

 

자원기반 경제(RBE, Resource-Based Economy)는
돈 없이 운영되는 경제 시스템입니다.
자본주의, 공산주의 둘 다 아니고,
그냥 기술과 자원, 과학적 계획에 따라 운영되는 체계입니다.

1. 기본 전제

  • 지구의 자원은 유한하다.

  • 자원을 누가 더 많이 갖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효율적으로 쓰느냐가 중요하다.

  • 인간의 필요는 예측 가능하고, 자동화 시스템으로 충족 가능하다.

2. 구조

  • 화폐 없음.
    돈 대신 자원과 데이터 기반으로 생산/분배 결정.

  • 정치인 없음.
    의사결정은 시민 직접 참여 + 알고리즘 기반.

  • 계급 없음.
    자원이 충분히 공급되면, 계층은 의미 없어짐.

  • 노동 개념 약화.
    단순노동, 반복노동은 자동화.
    인간은 창의, 연구, 예술에 집중.

3. 운영 방식

  • 자원 현황은 실시간으로 공개됨.

  • 무엇을 생산할지, 얼마나 나눌지는
    AI와 센서 네트워크로 분석됨.

  • 모든 생산/운영 시스템은 오픈소스화되어
    누구나 검토 가능.

  • 사적 소유는 줄고, 공공 시스템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전환됨
    (예: 공용 차량, 공용 주택, 공용 식료 시스템 등)

4. 왜 가능한가?

  • 블록체인 → 데이터 조작 불가

  • 자동화, 로봇기술 → 생산 효율↑, 노동시간↓

  • 인터넷 투표, 분산 시스템 → 직접민주주의 실현 가능

  • 사회심리 연구들에서 협력적 행동이 자원 분배에 따라 바뀌는 것 확인됨

5. 자주 나오는 오해

  • 공산주의 아니냐?
    → 공산주의는 국가 중심 계획 + 권력 집중.
    자원기반경제는 중앙 권력 없음. 완전 분산 구조.

  • 사람 본성이 탐욕인데 되겠냐?
    → 사람은 환경에 따라 탐욕도 줄고 협력도 가능함.
    공공재 게임, 울티메이텀 게임, 신뢰 실험 등에서 확인됨.

  • 그럼 지금 당장 할 수 있냐?
    → 당장은 어렵지만 이행 모델은 존재함.
    소규모 실험 도시부터, 단계적 전환 구조 제시되어 있음.

  • 유토피아이자 망상이냐?
    → 지금 체제는 유토피아는커녕 파국으로 가고 있음.
    빈부격차, 환경위기, 실업, 전쟁.
    이건 현실이다.

6. 참고

  • 자크 프레스코 (Jacque Fresco) – '비너스 프로젝트' 제안자

  • Peter Joseph – 다큐 ‘Zeitgeist: Addendum’, ‘Moving Forward’

  • 검색어: Resource Based Economy, The Venus Project

 

 

 

 

 

 

[출처 : 오유-시사]

Comments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56(1) 명
  • 오늘 방문자 1,080 명
  • 어제 방문자 2,012 명
  • 최대 방문자 6,008 명
  • 전체 방문자 650,809 명
  • 전체 게시물 120,899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61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