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중 하나가...
안전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방해요소가 너무 많음.
특히나 시공(작업)용으로도 쓰일 수 있다는 이유(안전 전용이 아니라는 이유)로 안전관리비 청구가 어려운점 때문에
요즘같은 최첨단 시대에 구식으로 안전관리를 할수밖에 없는게 개탄스러움...
어짜피 시공(작업)랑 어울어져야 안전이 완성 되는걸 생각하면 이래저래 말도 안되는 상황이고
근데 이건 노동부에서도 수십연(년)동안 해결못한 사안이라...
(이래서 앞에 대통령실 산하에 안전 전담기구가 필요하다는거...)
--------------------------------------------------
https://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sisa&no=1259647
전에 위험성 평가를 이야기하면서 설명한 내용인데...
누구나 들고 있는 스마트 폰으로 손쉽게 위험성평가의 내용을 실행에 옮기도록 시스템을 구축하면됨.
거기에 개별적인 안전 지시도 같이 수행하도록 하고 확인 또한 해당 시스템으로 할 수 있도록 충분히 가능함.
뭐 대단한거 말하려는게 아니고...
지금 사람들이 카톡으로 하는걸 시스템화해서 좀 더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면 될일임.
https://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sisa&no=1259754
특히 위 글 5번에서 적었듯
현장 내 위험한 상황 있으면 근로자 개개인이 해당시스템에 신고도 하고.
그에 따라 우수 안전 근로자라고 포상도 하고 하면 누이좋고 매부좋고 일꺼라 생각이 듬.
--------------------------------------------------
다시 말하지만 이런시스템을 구축못하는건 전적으로 노동부의 문제가 큼.
해당내용을 시공(작업)적으로 만들어도 안전쪽으로는 디테일하게 적용하기 힘들어 2중일이 될 바에야
차라리 안전쪽이 주도하여 안전일에 쓰임새가 높게 만들도록 만들고
시공(작업)적인 비용은 소정의 분류법으로 일정비용을 시공(작업)측에서 청구가 가능하도록 만드는게 맞다고 생각함.
아니면 아쌀하게...
나라에서 무료로 이용가능하게 시스템을 구축해 주던가?
(특정한 업무들은 추가하면 안전관리비로 사용토록 하는 등의)
그리고
또 다시 이야기 하지만..
이런 시스템은 중앙통제가 들어가면 사람들의 참여를 기대하기도 어렵고 형식적으로만 할 공산이 크므로
철저하게 각현장 단위에서 최대한 비공개적으로 이루어져야 할꺼라고 봄.
[출처 : 오유-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