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이탈리아은행 금고에 보관된 금괴. 로이터 연합뉴스
국제 금값이 치솟는 가운데 꿋꿋하게 금을 보유해온 이탈리아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전 세계적인 부채 증가와 통화가치 하락이 이어지는 가운데 최후의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금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국가 신인도를 지탱해주는 보루다.로이터 통신은 이탈리아의 ‘뚝심 있는’ 금 보유 현황을 15일(현지시간) 조명했다.중앙은행인 이탈리아은행이 보유한 금은 2452톤(t). 미국 연방준비제도(8133톤), 독일 분데스방크(3351톤)에 이어 세계 3위다.로이터는 “이탈리아의 금 보유량은 꾸준한 보호와 거듭된 위기에서도 매각 요구를 거부해온 뚝심의 결과”라고 짚었다.이탈리아인들의 금 사랑은 에트루리아 문명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로이터는 설명했다. 이 기류는 근대로 이어졌다.2차 대전 당시 아돌프 히틀러의 독일 나치군이 현지 파시스트 정권의 도움 아래 이탈리아 금 120톤을 압류하면서 전쟁이 끝날 무렵 이탈리아 금 보유량은 약 20톤으로 쪼그라들었다.이탈리아가 전후 ‘경제 기적’ 시기에 수출 주도 경제로 성장하면서 달러화 유입이 급증했고 이 중 일부가 금으로 바뀌었다. 금 보유량은 1960년까지 1400t으로 증가했다.1970년대 오일 쇼크 당시 이탈리아는 사회 불안과 잦은 정권 교체로 인해 국제 투자자들 사이에 위험한 국가로 인식됐다.SDA 보코니 경영대학원의 스테파노 카셀리 학장은 “극심한 통화 불안정에 서구 중앙은행들이 금융 건전성의 궁극적 상징인 금을 매입했다”고 했다.이탈리아는 영국이나 스페인과 달리 금융 위기 국면들에서도 금을 매각하지 않았다. 2008년 국가부도 위기 때도 금을 팔지 않았다.살바토레 로시 전 이탈리아은행 부총재는 2018년 자신의 저서 ‘오로’(Oro·금)에서 “금은 마치 집안의 은식기, 할아버지의 귀한 시계 같다. 국가에 대한 국제적 신뢰가 흔들릴 때 어떤 위기에서든 마지막 수단으로 남겨두는 것”이라고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