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금융당국이 방시혁 하이브 의장을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습니다.
'하이브' 상장 과정에서 상장 계획이 없는 것처럼 투자자들을 속여 주식을 팔게 하고, 수천억 원에 달하는 부당 이득을 챙긴 혐의입니다.
김민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금융당국이 방시혁 하이브 의장을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습니다.
검찰 고발은 금융 당국이 개인에게 내릴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제재입니다.
지난 2020년 10월, 하이브는 13만 5천 원에 코스피에 상장해, 장중 상한가 35만 1천 원을 찍었습니다.
하지만 주가는 곧바로 떨어져 18만 원대로 반토막 나고 계속 하락했습니다.
상장 이후, 사모펀드들이 차익 실현에 나섰기 때문이라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방 의장은 상장 전 사모펀드 세 곳과 계약을 맺었습니다.
상장 후 사모펀드가 지분을 팔았을 때 차익의 30%를 넘겨받기로 한 겁니다.
사모펀드는 기존 투자자들로부터 하이브 주식을 사들였고, 당국은 이 과정에서 방 의장이 상장 계획이 없다고 투자자들을 속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방 의장은 이 계약을 통해 4천억 원가량 정산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계약 사실은 한국거래소 상장심사와 금감원 증권신고서에도 빠져있었습니다.
특히 당국은 방 의장이 대주주에게 상장 후 일정 기간 동안 주식을 팔 수 없도록 한 보호예수규정을 우회하기 위해 사모펀드를 동원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하이브 측은 "심려 끼쳐 송구하다"면서 "시간이 걸리더라도 당시 법을 준수해 상장했다는 점을 소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금융당국은 오는 16일 회의에서 방 의장 고발 안건을 처리할 예정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증시 교란 행위에 단호한 대응을 강조해 왔습니다.
취임 직후에는 한국거래소를 방문해 시장 질서 확립 의지를 보였습니다.
정부는 불공정 행위가 한 번이라도 발견되면 주식시장에서 완전히 퇴출시키는, 이른바 '원 스트라이크 아웃'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MBC뉴스 김민형입니다.